알렉산드리아의 등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드리아의 등대는 기원전 3세기에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 건설된 등대이다. 파로스 섬에 세워져 알렉산드리아 항구로 들어오는 선박의 안전을 돕는 역할을 했다. 높이는 약 134미터로, 고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 중 하나였으며, 사각형 기단, 팔각형 중간 부분, 원통형 상부의 3층 구조를 가졌다. 등대는 지진으로 인해 여러 차례 손상되었고, 1480년 카이트베이 요새 건설에 사용되면서 완전히 사라졌다. 등대는 건축, 언어,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으며, 여러 언어에서 "등대"를 뜻하는 단어의 어원이 되었다. 1968년부터 수중 고고학 조사가 진행되어 잔해가 발견되었고, 현재 유네스코 세계 유산 등재를 추진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렉산드리아의 교통 - 보르그엘아랍 국제공항
보르그엘아랍 국제공항은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2009년에 개항하여 연간 120만 명의 여객을 처리하며, 다양한 항공사들이 여러 도시로 운항하고 있다.
알렉산드리아의 등대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위치 | 파로스 섬, 알렉산드리아, 이집트 |
좌표 | 31.2148° N, 29.886° E |
착공 | 기원전 284년 ~ 246년 사이 |
점등 | (정보 없음) |
자동화 여부 | (정보 없음) |
폐쇄 | 1303년 또는 1323년 |
기초 | 돌 |
구조 | 석조 |
형태 | 아래는 사각형, 중간은 팔각형, 상단은 원통형 |
높이 | 103m ~ 118m |
가시 거리 | 47km |
건축 정보 | |
건축 양식 | 헬레니즘 건축 |
건설 기간 |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기 |
건설 시작 |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 |
완공 | 프톨레마이오스 2세 필라델포스 |
역사 | |
붕괴 원인 | 지진 |
붕괴 시기 | 1303년 또는 1323년 |
기타 | |
중요성 |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 |
관련 유적 | 알렉산드리아의 수중 유적 |
2. 역사
기원전 332년, 알렉산드로스 3세가 나일강 하구에 알렉산드리아를 건설했다.[6] 알렉산드로스 사후 이집트는 프톨레마이오스 1세의 통치하에 놓였고, 프톨레마이오스 왕조가 알렉산드리아를 수도로 삼았다. 알렉산드리아는 파로스 섬과 연결되어 국제 무역항으로 발전했지만, 주변이 평탄한 지형이라 연안 항해나 입항 시 육지를 식별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프톨레마이오스 1세는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위한 육표로 등대 건설을 결정했다. 건설은 크니도스의 소스트라토스가 지휘하였으며, 건설 장소는 알렉산드리아 만의 파로스 섬이 선택되었다. 파로스 섬과 알렉산드리아 항구는 인공적인 통로로 연결되었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첫 번째 통치자였던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죽은 뒤 스스로 이집트의 왕으로 즉위하여 자신을 소테르(''구원자''라는 뜻)로 칭하고 알렉산드리아 항구 부근의 파로스 섬에 등대를 건축하도록 명령하였다.[43] 이에 따라 등대의 건축은 기원전 3세기 초에 시작되었으며 그의 아들인 프톨레마이오스 2세 대에 이르러 완공되었다.[43][8]
등대 건설에는 약 800탈렌트의 은이 들어갔으며, 등대의 대부분은 백색 석회암과 화강암으로 만들어졌다.[43][9] 등대 하단의 기석에는 '소테르'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었지만, 왕의 이름은 새겨져 있지 않았다.[45] 건축에 사용된 사암과 석회암은 도시 동쪽의 사막에 있던 와디 함마마트 채석장에서 채굴해 가져온 것으로 추정된다.[45][13]
스트라보는 등대에 붙어있던 금속판에 크니도스의 소스트라토스의 이름이 있었다고 전했고,[10] 대 플리니우스는 그의 ''박물지''에서 소스트라토스가 등대의 건축가였다고 주장했지만, 이 결론은 논쟁의 여지가 있다.[44][10] 학자 루키아노스는 소스트라투스가 자신의 이름을 왕의 이름을 새겨넣은 판 아래에 새겨서, 후대에 그 판이 떨어진 후에도 자신의 이름은 계속 남아있도록 하였다고 주장하였다.[11][12]
알렉산드리아 등대는 여러 차례의 지진으로 인해 손상되었다. 8세기와 10세기의 지진으로 부분적으로 금이 가고 틈이 생겼으며,[19] 956년 지진으로 구조적으로 붕괴되었다.[19] 특히 10세기에 발생한 지진으로 등대 상부 20m 정도가 무너졌고, 이를 복구하기 위해 원래의 동상 대신 이슬람 양식의 돔을 등대 꼭대기에 덮었다.[19] 956년 지진 이후 기록된 복구 작업에는 이전에 구조물 꼭대기에 있던 조각상이 붕괴된 후 이슬람 양식의 돔 설치가 포함되었다.[20]
1303년 크레타 섬에서 발생한 강도 VIII+의 지진은[20] 이미 약해져 있던 등대를 완전히 무너뜨렸다.[19] 1323년에도 지진으로 등대가 붕괴되었다. 지진은 등대 위치에서 350km와 520km 떨어진 아프리카-아라비아 판과 홍해 열곡 지역에서 전파되었다.[19] 796년의 지진으로 대등대는 반파되었고, 그 후의 1303년과 1323년의 지진으로 완전히 붕괴되었다.
1480년 이집트 술탄 카이트베이는 등대의 잔해를 사용하여 중세 요새를 건설하면서 등대는 완전히 사라졌다.[20] 14세기의 여행가 이븐 바투타는 붕괴로 인해 등대 안에 들어갈 수도 없다고 기록했다.
10세기 아랍 작가 알마수디는 등대 파괴에 관한 전설적인 이야기를 전한다. 압드 알말리크 이븐 마르완() 칼리프 시대에 비잔틴 제국의 환관 첩자가 이슬람교로 개종하여 칼리프의 신임을 얻은 후, 등대 기지에 숨겨진 보물을 찾도록 허가를 받았다. 수색은 교묘하게 진행되어 기초가 훼손되었고, 파로스가 붕괴되었다. 첩자는 배를 타고 탈출했다.[19]
중세 시대에 등대의 일부가 남아 있었을 때, 아랍어 및 페르시아어의 지지(地理誌)와 기이담 등에서 알렉산드리아를 소개할 때 반드시 대등대에 대해 언급했다. 1183년 스페인의 무와히드 왕조 치하 그라나다에서 지중해를 건너 알렉산드리아에 도착한 이븐 주바일은 대등대에 대해 언급했다.[38] 13세기 중반 저술가 자카리야 카즈위니도 저서 『피조물의 경이』(, ) 및 『제국의 기록』(, ) 등에서 알렉산드리아 대등대가 삼중 구조였음을 도해했다.
남송의 취안저우 제거시박사였던 자오루어스는 저서 『제번지』[39](1225년)에서 알렉산드리아 대등대에 대해 기술했다.[40][41]
2. 1. 건설 배경
기원전 332년, 알렉산드로스 3세가 나일강 하구에 알렉산드리아를 건설했다.[6] 알렉산드로스 사후 이집트는 프톨레마이오스 1세의 통치하에 놓였고, 프톨레마이오스 왕조가 알렉산드리아를 수도로 삼았다. 알렉산드리아는 파로스 섬과 연결되어 국제 무역항으로 발전했지만, 주변이 평탄한 지형이라 연안 항해나 입항 시 육지를 식별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프톨레마이오스 1세는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위한 육표로 등대 건설을 결정했다. 건설은 크니도스의 소스트라토스가 지휘하였으며, 건설 장소는 알렉산드리아 만의 파로스 섬이 선택되었다. 파로스 섬과 알렉산드리아 항구는 인공적인 통로로 연결되었다.2. 2. 건설 과정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첫 번째 통치자였던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죽은 뒤 스스로 이집트의 왕으로 즉위하여 자신을 소테르(''구원자''라는 뜻)로 칭하고 알렉산드리아 항구 부근의 파로스 섬에 등대를 건축하도록 명령하였다.[43] 이에 따라 등대의 건축은 기원전 3세기 초에 시작되었으며 그의 아들인 프톨레마이오스 2세 대에 이르러 완공되었다.[43][8]등대 건설에는 약 800탈렌트의 은이 들어갔으며, 등대의 대부분은 백색 석회암과 화강암으로 만들어졌다.[43][9] 등대 하단의 기석에는 '소테르'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었지만, 왕의 이름은 새겨져 있지 않았다.[45] 건축에 사용된 사암과 석회암은 도시 동쪽의 사막에 있던 와디 함마마트 채석장에서 채굴해 가져온 것으로 추정된다.[45][13]
스트라보는 등대에 붙어있던 금속판에 크니도스의 소스트라토스의 이름이 있었다고 전했고,[10] 대 플리니우스는 그의 ''박물지''에서 소스트라토스가 등대의 건축가였다고 주장했지만, 이 결론은 논쟁의 여지가 있다.[44][10] 학자 루키아노스는 소스트라투스가 자신의 이름을 왕의 이름을 새겨넣은 판 아래에 새겨서, 후대에 그 판이 떨어진 후에도 자신의 이름은 계속 남아있도록 하였다고 주장하였다.[11][12]
2. 3. 중세 시대와 파괴
알렉산드리아 등대는 여러 차례의 지진으로 인해 손상되었다. 8세기와 10세기의 지진으로 부분적으로 금이 가고 틈이 생겼으며,[19] 956년 지진으로 구조적으로 붕괴되었다.[19] 특히 10세기에 발생한 지진으로 등대 상부 20m 정도가 무너졌고, 이를 복구하기 위해 원래의 동상 대신 이슬람 양식의 돔을 등대 꼭대기에 덮었다.[19] 956년 지진 이후 기록된 복구 작업에는 이전에 구조물 꼭대기에 있던 조각상이 붕괴된 후 이슬람 양식의 돔 설치가 포함되었다.[20]1303년 크레타 섬에서 발생한 강도 VIII+의 지진은[20] 이미 약해져 있던 등대를 완전히 무너뜨렸다.[19] 1323년에도 지진으로 등대가 붕괴되었다. 지진은 등대 위치에서 350km와 520km 떨어진 아프리카-아라비아 판과 홍해 열곡 지역에서 전파되었다.[19] 796년의 지진으로 대등대는 반파되었고, 그 후의 1303년과 1323년의 지진으로 완전히 붕괴되었다.
1480년 이집트 술탄 카이트베이는 등대의 잔해를 사용하여 중세 요새를 건설하면서 등대는 완전히 사라졌다.[20] 14세기의 여행가 이븐 바투타는 붕괴로 인해 등대 안에 들어갈 수도 없다고 기록했다.
10세기 아랍 작가 알마수디는 등대 파괴에 관한 전설적인 이야기를 전한다. 압드 알말리크 이븐 마르완() 칼리프 시대에 비잔틴 제국의 환관 첩자가 이슬람교로 개종하여 칼리프의 신임을 얻은 후, 등대 기지에 숨겨진 보물을 찾도록 허가를 받았다. 수색은 교묘하게 진행되어 기초가 훼손되었고, 파로스가 붕괴되었다. 첩자는 배를 타고 탈출했다.[19]
중세 시대에 등대의 일부가 남아 있었을 때, 아랍어 및 페르시아어의 지지(地理誌)와 기이담 등에서 알렉산드리아를 소개할 때 반드시 대등대에 대해 언급했다. 1183년 스페인의 무와히드 왕조 치하 그라나다에서 지중해를 건너 알렉산드리아에 도착한 이븐 주바일은 대등대에 대해 언급했다.[38] 13세기 중반 저술가 자카리야 카즈위니도 저서 『피조물의 경이』(, ) 및 『제국의 기록』(, ) 등에서 알렉산드리아 대등대가 삼중 구조였음을 도해했다.
남송의 취안저우 제거시박사였던 자오루어스는 저서 『제번지』[39](1225년)에서 알렉산드리아 대등대에 대해 기술했다.[40][41]
3. 구조
등대의 전체 높이는 약 134미터였다. 기자의 대 피라미드(147미터)를 제외하면, 건축 당시에는 지구상에서 가장 높은 인공 구조물 중 하나였다. 건재로는 대리석이 사용되었으며, 블록 형태로 잘라낸 것을 쌓아 올렸다. 형태가 다른 3개의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각형의 기저부 중앙에 탑이 있고, 하층부는 사각 기둥, 중층부는 한층 가늘어진 팔각 기둥, 상층부는 더욱 가늘어진 원통형이었다. 꼭대기에는 거울이 놓여져, 낮에는 여기에 햇빛을 반사시키고, 밤에는 불을 태워 반사시켰다. 그 모습은 알렉산드리아의 주조소에서 만들어진 로마 시대의 동전에서 볼 수 있다. 등대의 네 모퉁이에는 뿔피리를 부는 해신 트리톤(Triton)의 조각상이 놓여 있었다. 또한, 로마 시대에는 꼭대기에도 조각상이 놓여 있었다.
내부에는 나선형 통로가 설치되어, 그곳을 노새를 사용하여 장작을 운반했다고 생각된다.
3. 1. 높이와 형태
알렉산드리아 등대는 높이 103~118m, 가로 약 30m의 정사각형 기단 위에 세워진 거대한 건축물이었다.[1] 등대는 밝은 색의 큰 돌 블록으로 건설되었으며,[14] 3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하단은 중앙 코어가 있는 사각형, 중간은 팔각형, 상단은 원통형 부분이었다.[14] 10세기에 알마수디는 바다 쪽 면에 제우스에게 헌정된 비문이 있었다고 기록했다.[15]
등대 꼭대기에는 거울이 설치되어 낮에는 햇빛을, 밤에는 불을 지펴 반사했다.[16] 알렉산드리아 조폐국에서 발행된 로마 동전에는 건물의 네 모퉁이에 트리톤 조각상이, 꼭대기에는 포세이돈 또는 제우스 조각상이 묘사되어 있다.[16]
1166년 알렉산드리아를 방문한 아랍 여행가 아부 하가그 유세프 이븐 모하메드 엘-발라위 엘-안달루시는 등대 내부 경사로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다. 경사로는 석조 지붕으로 덮여 있었고, 시계 방향으로 4개의 층에 걸쳐 여러 개의 방이 있었다.[18] 그는 등대 기저부가 각 면에 45 바(30m), 연결된 경사로는 600 디라(300m) 길이에 20 디라(10m) 너비였다고 보고했다. 팔각형 부분은 너비 24 바(16.4m), 원통형 부분의 직경은 12.73 바(8.7m)였다.[18]
알 이드리시는 1154년에 등대를 방문했을 때, 기단의 석조 블록 사이에 납이 채워져 있는 것을 확인했다.[18] 1303년 크레테 지진 이후 등대를 방문한 이븐 바투타는 등대가 크게 파괴되어 사각형 타워와 입구 경사로만 남아있다고 기록했다.[18]

3. 2. 재료와 건축 기술
알렉산드리아 등대는 밝은 색의 큰 석회암 블록으로 건설되었으며, 블록 사이는 납으로 결합되었다.[14][18] 등대는 세 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아래쪽은 중앙 코어가 있는 사각형, 중간은 팔각형, 맨 위는 원형 부분이었다.[14]1154년에 등대를 방문한 지리학자 알 이드리시는 기단의 석조 블록 사이에 납이 채워져 있음을 언급했다.[18] 등대 내부에는 나선형 통로가 설치되어 있어, 꼭대기까지 연료를 운반할 수 있었다.[18] 등대 꼭대기에는 낮에는 햇빛을 반사하고 밤에는 불을 지피는 거울이 있었다.[16] 알렉산드리아 조폐국에서 발행한 로마 동전에는 트리톤의 조각상이 건물의 네 모퉁이에 배치되어 있었고, 꼭대기에는 포세이돈 또는 제우스의 조각상이 서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16] 알마수디는 10세기에 바다 쪽 면에 제우스에게 헌정된 비문이 있었다고 기록했다.[15]
4. 고고학적 발굴과 복원
1968년, 유네스코의 지원으로 수중 고고학 조사가 시작되어 등대의 잔해가 발견되었다.[23] 하지만 이 지역은 군사 지역으로 지정되었고, 고고학자들의 인력 부족으로 발굴은 잠정 중단되었다.[23] 1994년 프랑스의 고고학자 장이브 앙페레는 알렉산드리아 동쪽 항구에서 등대의 잔해를 발견하고 수중 사진 촬영과 목록 작성을 진행했다.[48][24]
발견된 유물 중에는 49~60톤에 달하는 거대한 화강암 블록, 스핑크스, 오벨리스크, 람세스 2세 시대의 조각 등이 포함되어 있다.[24] 이 유물들은 현재 알렉산드리아 박물관에 전시되어있다.[24] 1990년대 초반에는 또 다른 고고학자가 항구 반대편에서 신전과 주거지역의 잔해를 발견하기도 했다.[25]
현재 이집트 정부와 유네스코는 등대 유적을 세계 유산 목록에 추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27]
5. 영향 및 의의
파로스 등대는 여러 언어에서 "등대"를 뜻하는 낱말의 어원이 되었다.[49] 그리스어(φάρος), 불가리아어(фар) 뿐만 아니라 프랑스어의 phare, 이탈리아어의 faro, 포르투갈어의 farol, 스페인어의 faro, 루마니아어와 카탈루냐어의 far과 같이 로망스어군의 많은 언어에서 그 영향을 찾을 수 있다.
파로스 등대의 건축 형태는 후대의 건축에 영향을 주었다. 파로스 등대와 같은 시기에 지어진 아부키르의 무덤과 로마 시대 히스파니아(스페인)에 세워진 헤라클레스의 탑은 명백히 파로스 등대의 모습을 본 뜬 것이다. 정방형의 하단과 팔각형의 중단, 그리고 둥근 모양의 상부가 그것이다.
또한, 이슬람교의 모스크에 부속된 미나레트의 형태는 특히 북아프리카의 마그레브 제국의 것은 사각형 평면의 높은 받침대형 누각에 정탑을 더하는 형식이 일반적인데, 대등대와 같은 삼층 구조와 매우 흡사하여 영향이 지적되고 있다.
덧붙여, 알 마수디의 『황금의 목장과 보석의 광산』(무루즈 아드 다하브 와 마아딘 알 자와히르/Murūj al-Dhahab wa Ma'ādin al-Jawāhirar-latn 947년경)의 전설에서는 탑을 반으로 쪼개고 그 거울을 파괴하여 도주한 것은 동로마 제국의 선교사로 여겨진다[42]。
2008년 3월 국제과학사학술지 제14권에서는 고대인들이 알렉산드리아 등대를 이용하여 지구의 둘레를 측정하였다는 기사를 수록하였다.[49]
전설에 따르면 파로스 섬의 사람들은 난파선 약탈자였다고 한다. 그래서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는 밤에 배가 항구로 들어오는 것을 돕기 위해 등대를 건설했다.[28]
5. 1. 건축적 영향
파로스 등대의 건축 양식은 후대의 건축에 큰 영향을 주었다. 파로스 등대와 같은 시기에 지어진 아부키르의 무덤과 로마 시대 히스파니아(스페인)에 세워진 헤라클레스의 탑은 파로스 등대의 모습을 본뜬 것이다.[49] 정방형의 하단과 팔각형의 중단, 그리고 둥근 모양의 상부 구조가 그것이다.[49] 아부시르에 있는 고대 무덤은 알렉산드리아 파로스의 축소 모형으로 여겨지는데, 정사각형 기저부, 팔각형 중간 부분, 원통형 상단부를 가진 3층 탑으로 구성되어 외관상 파로스와 유사하다.초기 이집트 이슬람 모스크의 미나레트 디자인은 파로스와 유사한 3단계 디자인을 따랐다.[30] 특히 북아프리카의 마그레브 제국의 미나레트는 사각형 평면의 높은 받침대형 누각에 정탑을 더하는 형식이 일반적인데, 이는 대등대의 삼층 구조와 매우 흡사하다.
알 마수디의 『황금의 목장과 보석의 광산』(무루즈 아드 다하브 와 마아딘 알 자와히르/Murūj al-Dhahab wa Ma'ādin al-Jawāhirar-latn 947년경)의 전설에서는 탑을 반으로 쪼개고 그 거울을 파괴하여 도주한 것은 동로마 제국의 선교사로 여겨진다[42]。
5. 2. 문화적 상징
파로스 등대는 여러 언어에서 "등대"를 뜻하는 낱말의 어원이 되었다.[49] 그리스어(φάρος), 불가리아어(фар) 뿐만 아니라 프랑스어의 phare, 이탈리아어의 faro, 포르투갈어의 farol, 스페인어의 faro, 루마니아어와 카탈루냐어의 far과 같이 로망스어군의 많은 언어에서 그 영향을 찾을 수 있다.파로스 등대의 건축 형태는 후대의 건축에 영향을 주었다. 파로스 등대와 같은 시기에 지어진 아부키르의 무덤과 로마 시대 히스파니아(스페인)에 세워진 헤라클레스의 탑은 명백히 파로스 등대의 모습을 본 뜬 것이다. 정방형의 하단과 팔각형의 중단, 그리고 둥근 모양의 상부가 그것이다.
등대는 알렉산드리아 주 알렉산드리아 시의 시민적 상징으로, 등대의 양식화된 표현은 주의 깃발과 문장에 나타나며, 알렉산드리아 대학교의 문장을 포함한 시의 많은 공공 서비스에도 나타난다.
또한, 이슬람교의 모스크에 부속된 미나레트의 형태는 특히 북아프리카의 마그레브 제국의 것은 사각형 평면의 높은 받침대형 누각에 정탑을 더하는 형식이 일반적인데, 대등대와 같은 삼층 구조와 매우 흡사하여 영향이 지적되고 있다.
5. 3. 언어적 영향
'파로스(Φάρος)'는 그리스어(φάρος)와 불가리아어(фар)를 비롯하여 프랑스어(phare), 이탈리아어(faro), 포르투갈어(farol), 스페인어(faro) 등 많은 로망스어군에서 '등대'를 의미하는 단어의 어원이 되었다.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터키어, 세르비아어, 러시아어 등에서는 파생된 단어가 '헤드라이트'를 의미하기도 한다.6. 현대의 재건 논의
1978년부터 파로스 등대를 현대식으로 다시 짓자는 의견들이 나오기 시작했다.[29] 2015년에 이집트 정부와 알렉산드리아 주(governorate)는 알렉산드리아 항구 동부 항구 재개발의 일환으로 등대 부지에 고층 건물을 건설하는 방안을 제안했으나, 반대 의견이 많고 현재까지 특별한 실행 조치는 확인되지 않았다.[29]
참조
[1]
서적
The Architecture of Alexandria and Egypt: 300 BC – AD 700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Seven Wonders of the Ancient World
Routledge
[3]
서적
The Seven Wonders of the Ancient World
Routledge
[4]
간행물
Treasures of the Sunken City
https://www.pbs.org/[...]
1997-11-18
[5]
웹사이트
Sunken Ruins of Alexandria Will Be World's First Underwater Museum
http://www.earthable[...]
2016-03-27
[6]
서적
Everyman's Smaller Classical Dictionary
J. M. Dent & Sons Ltd
[7]
서적
Vintage Alexandria: Photographs of the City, 1860–1960
https://books.googl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8]
웹사이트
This was an enormous sum, a tenth of the treasury when Ptolemy I assumed the throne. (In comparison, the [[Parthenon]] is estimated to have cost at least 469 talents of silver.)
http://penelope.uchi[...]
[9]
웹사이트
Lighthouse of Alexandria
https://www.worldhis[...]
2020-11-10
[10]
서적
From Mycenae to Constantinople: the evolution of the ancient ci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11]
서적
Architecture of Alexandria and Egypt 300 B.C. A.D 700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2]
문서
Lucian ''How to Write History'', LXII
[13]
웹사이트
Characterization and Source of Sedimentary Rocks of the Alexandria Lighthouse Archaeological Objects, Egypt
https://www.research[...]
2020-11-10
[14]
웹사이트
lighthouse of Alexandria {{!}} History, Location, & Facts
https://www.britanni[...]
2021-06-04
[15]
서적
Seven Wonders of the Ancient World
https://archive.org/[...]
Routledge
[16]
문서
Haas 1997, p. 144.
[17]
문서
Clayton & Price 1988, p. 153.
[18]
논문
The Islamic History of the Lighthouse of Alexandria
2006-01-01
[19]
논문
Integrity assessment of the Pharos of Alexandria during the 1303 CE earthquake
2013-10
[20]
논문
Integrity assessment of the Pharos of Alexandria during the 1303 CE earthquake
2013-10
[21]
웹사이트
Alexandria Pharos island
http://www.ancientpo[...]
[22]
웹사이트
The Nile River Delta Coast and Alexandria Seaport, Egypt: A Brief Overview of History, Problems, and Mitigation
https://escholarship[...]
[23]
문서
Frost, H. (2000). From Byblos to Pharos: some archaeological considerations. In N. Grimal, M. H. Mostafa, & D. Nakashima (Authors), ''Underwater archaeology and coastal management: Focus on Alexandria'' (pp. 64–68). Paris: UNESCO.
[24]
웹사이트
Raising Alexandria
https://www.smithson[...]
2019-04-29
[25]
웹사이트
Franck Goddio's Excavations in Alexandria
https://www.franckgo[...]
[26]
논문
Swimming With Sphinxes
1997-02
[27]
웹사이트
Museums and Tourism –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http://www.unesco.or[...]
[28]
문서
Clayton, Price, & Price, Martin. (1988). ''The seven wonders of the ancient world''. London; New York: Routledge.
[29]
웹사이트
A frightening vision: on plans to rebuild the Alexandria Lighthouse
https://www.opendemo[...]
2017-07-14
[30]
서적
Dictionary of Islamic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31]
문서
"*Ferris, Gary W. ''Presidential Places: A Guide to the Historic Sites of U.S. Presidents.'' Winston-Salem, N.C.: J.F. Blair, 1999. p.21"
[32]
문서
It was common for Caesar in his writings to refer to himself in the third person.
[33]
문서
Needham, Joseph (1986). ''Science and Civilization in China: Volume 5, Physics and Physical Technology, Part 3: Civil Engineering and Nautics''. Taipei: Caves Books, Ltd. p. 662.
[34]
서적
The Travels of Ibn Battutah
Picador
2002
[35]
서적
Jews in the Mediterranean Diaspora: from Alexander to Trajan (323 BCE–117 CE)
T&T Clark
1998
[36]
웹사이트
Planetary Names: Crater, craters: Pharos on Proteus
https://planetarynam[...]
USGS Astrogeology
2021-11-04
[37]
서적
水中考古学 クレオパトラ宮殿から元寇船、タイタニックまで
中央公論新社
[38]
서적
イブン・ジュバイルの旅行記
講談社学術文庫
2009-07
[39]
웹사이트
諸蕃志卷上
http://toyoshi.lit.n[...]
[40]
서적
諸蕃志
関西大学出版部
1991-03
[41]
서적
アレキサンダー大王99の謎
[42]
서적
アレキサンダー大王99の謎
[43]
서적
내 딸들을 위한 여성사
푸른역사
[44]
서적
From Mycenae to Constantinople: the evolution of the ancient city
Routledge
[45]
서적
Architecture of Alexandria and Egypt 300 B.C A.D 700
Yale University Press
[46]
서적
이븐 바투타 여행기 1
창작과비평사
[47]
웹인용
Qaitbay Fort
https://web.archive.[...]
2013-07-27
[48]
뉴스
NOVA online - Treasures of the Sunken City
http://www.pbs.org/w[...]
Pbs.org
1997-11-18
[49]
간행물
DIO volume 14
http://www.dioi.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